카테고리 없음

TIL20250107

foreiner852 2025. 1. 7. 21:13

1. 전송 계층 프로토콜

tcp,udp

tcp는 연결지향 신뢰도 높고 흐름을 제어함

udp 데이터를 던지고 도착하길 기도함
2. 대칭키, 비대칭키 암호화

대칭키 서버랑 클라이언트가 같은 키를 가지고 암호/복호화를 한다 보안이슈!

비대칭키 주로 인증서를 통한 개인키와 공개키를 이야기 한다.

ca인가 하는 공인 인증기관 인증서를 받아놓고 이 인증서 기반의 공개키를 보내면 클라이언트에서 인증서와 키를 가지고 검증하고 서버에 전송한다.

보안 이슈가 없지는 않다. 하지만 언제나 비용과 효율을 가지고 생각해야 한다.

이상적으로는 적어도 비밀번호 변경 권장기한 이내에는 해독이 어려우면 좋다.
3. 로드밸런싱

서버를 물리/로직상으로 분리할 경우 총괄하는 메니저가 있어야 하고 이것에서 일을 나눠주거나 하는것을 말한다.

서버에서 일을 하고있는지 확인하거나 그냥 랜덤으로 뿌리거나 순서대로 넣기도 한다.

관리를 위해 주기적으로 각 서버의 상태를 확인해서 멈추거나 고장난 부분을 넘어가도록 해준다.